입력장치로 받은 명령어 혹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함 제어장치에 의해 정보를 인출하여 연산장치에서 처리 결과를 출력장치에 표시하거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함 컴퓨터에 유입되는 정보는 컴파일러 등을 이용하여 이진화된 기계 명령어로 변환된 후 처리된다. 이때, 명령어의 구조는 어떻게 되며 어떠한 수행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 알아야 컴퓨터의 동작 과정을 더욱 자세히 이해할 수 있다. 명령어의 구조 연산 부호(오피코드): 데이터 전송, 산술 및 논리 연산, 제어 흐름 변경, 입출력 제어. 연산 부호가 n비트이면 최대 2^n개 연산이 가능 피연산자(오퍼랜드): 연산할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기도 하지만 주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가 저장됨, 소스 피연산자와 목적지 피연산자로 구분됨 오퍼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