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 2

[백준 13904] 과제 - 골드1(그리디, 정렬)

https://www.acmicpc.net/problem/13904 13904번: 과제 예제에서 다섯 번째, 네 번째, 두 번째, 첫 번째, 일곱 번째 과제 순으로 수행하고, 세 번째, 여섯 번째 과제를 포기하면 185점을 얻을 수 있다. www.acmicpc.net 사용한 자료구조: 리스트 사용한 알고리즘: 정렬, 그리디 문제를 풀다가 이번 코드는 이제껏 한 번도 사용해본 적 없는 방법으로 푼 문제라 기록해두고 싶어서 오랜만에 알고리즘 포스팅을 한다. 원래 이 문제는 우선순위 큐를 사용해서 푸는 문제지만, 나는 리스트의 정렬만으로 문제를 풀이했다. 먼저, 이 문제에서의 데이터의 우선순위는 (1) 과제의 점수가 높을 수록, (2) 마감 기한이 짧을수록 높기 때문에 입력을 받으며 lambda 식으로 정렬해..

6가지 대표적인 정렬 알고리즘(Sorting Algorithm)

정렬이란, 자료형이 같은 데이터들의 집합을 대소관계에 따라 줄지어 나열하는 것이다. 알고리즘은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렬은 그러한 알고리즘의 목적 달성을 돕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알고리즘이다. 데이터 탐색의 대표적인 방법에는 선형검색과 이분검색이 있는데, 이 중 이분검색을 위해서는 사전에 데이터 집합의 정렬이 반드시 필요하다. 정렬 알고리즘의 개요 1. 내부 정렬과 외부 정렬 - 내부 정렬: 정렬한 자료를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상태에서 정렬 - 외부 정렬: 외부 기억장치(하드 디스크)에 대부분의 데이터가 있고, 그 중 일부만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상태에서 정렬 2. 정렬 알고리즘의 종류 - 단순하지만 비효율적: 버블 정렬(Bubble sort), 선택 정렬(Selection ..

알고리즘 2022.12.29
728x90